SQL4 오라클 SQL(PL/SQL1) PL/SQL -PL/SQL은 일반프로그래밍 언어에 제공하는 많은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블록 -PL/SQL 소스프로그램의 기본 단위를 블록이라고 하는데 -블록은 선언부, 실행부, 예외처리부로 구성된다. 익명블록 -주의점 기존 =이 아닌 :=으로 실행해야됨 SET SERVEROUTPUT ON ->실행 출력 SET TIMING ON ->경과시간 출력 DECLARE vi_num NUMBER; BEGIN vi_num :=100; DBMS_OUTPUT.PUT_LINE(vi_num); END; PL/SQL 구성요소 변수 변수명 데이터타비 := 초깃값; PLS_INTEGER는 -2,147,483,648에서 2,147,483,647까지 범위를 가진 숫자 타입 BINARY_INTEGER는 PLS_INTEGER 동.. 2023. 10. 20. 오라클 SQL(계층형 쿼리) 계층형 쿼리 -2차원 형태의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계층형 구조로 결과를 반환하는 쿼리를 말한다. -START WITH 조건 : 계층형 구조에서 최상위 계층의 로우를 식별하는 조건을 명시한다. -CONNCET BY 조건 : 계층형 구조가 어떤 식으로 연결되는지를 기술하는 부분이다. -PRIOR : CONNECT BY절에서 해당 컬럼의 부모로우를 식별하는데 사용한다. ex) PARENT_ID컬럼에는 컴퓨터의 ITEM_ID값을 가지고 있으므로 PRIOR연산자는 ITEM_ID앞에 붙게 된다. select department_id, LPAD(' ', 3*(LEVEL-1)) || department_name, LEVEL from departments START WITH parent_id is null conne.. 2023. 10. 19. 오라클 SQL(서브쿼리1) 서브쿼리 연관성 없는 서브쿼리 --연관성 없는 서브 쿼리 --단일행 select count(*) from emp where salary >= (select avg(salary) from emp); --다중행 select count(*) from employees where department_id in(select department_id from departments where parent_id is null) select employee_id, emp_name, job_id from employees where (employee_id, job_id) in (select employee_id, job_id from job_history); 연관성 있는 서브 쿼리 --연관성 있는 서브 쿼리 select .. 2023. 10. 18. 오라클 SQL(집계함수/그룹쿼리) 집계함수 count(*), ([distinct]exp) : 건수 max(exp) : 최대값 min(exp) : 최소값 avg(exp) : 평균 sum(exp) : 합계 주의 : 레코드 단위 작업이 아님 묶음의 작업 [distinct] : 동일한 값은 하나만 처리 해당 값이 널이면 집계에서 제외됩니다. distinct : select 절 맨 처음에 사용, *행전체가 동일한 경우 중복제거* 습관적으로 distinct 사용금지, 중복제거가 필요한 경우에만 이전 작업한 레코드에 동일한 레코드가 있는지 확인,CPU연산 + 메모리 사용 order by : select문에서 가장 마지막에 동작하는 절입니다. order by exp1 [asc|desc] [, exp2 [asc|desc]...] exp : 컬럼이.. 2023. 10. 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