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pring4

[Toby] 스프링이란? 스프링이란? - 스프링은 자바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다. -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의 바탕이 되는 틀과 공통 프로그래밍 모델, 기술 API등을 제공 ​ 애플리케이션의 기본틀 1. 스프링 컨테이너 - 스프링 컨테이너 또는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라고 불리는 스프링 런타임 엔진을 제공 - 스프링 컨테이너는 설정정보를 참고로 해서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관리 - 스프링 컨테이너는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지만, 보통 웹 모듈에서 동작하는 서비스나 서블릿으로 등록해서 사용 ​ 공통 프로그래밍 모델 1. IoC/DI - 오브젝트의 생명주기와 의존관계에 대한 프로그래밍 모델 - 유연하고 확장성이.. 2023. 8. 3.
[spring]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웹 프로젝트 (Part1)1-2 @Component : 스프링에게 해당 클래스가 스프링에서 관리해야하는 대상임을 표시하는 어노테이션 @Setter : 자동으로 setXX()를 컴파일 시 생성 ​ 스프링에서 관리되는 객체를 흔히 '빈(Bean)'이라고 합니다. 이런 빈들은 root-context.xml설정파일에서 관리를 해줍니다. ​ 테스트 코드 @Runwith : 현재 테스트 코드가 스프링을 실행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것을 표시 @ContextConfiguration : 지정된 클래스나 문자열을 이용해서 필요한 객체들을 스프링 내에 객체로 등록 (흔히 스프링의 빈으로 등록된다고 표현) @Log4j : Lombok을 이용해서 로그를 기록하는 Logger를 변수로 생성 @Autowired : 헤당 인스턴스 변수가 스프링으로부터 자동으로 .. 2023. 5. 12.
[spring]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웹 프로젝트(Part1)1-1 이번 내용은 Part1에 있는 스프링의 기본적인 용어정리 및 요약 입니다. ​ 스프링의 주요 특징 1.POJO 기반의 구성 일반적인 Java 코드를 이용햇 객체를 구성하는 방식을 그대로 스프링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얘기 ​ 2.의존성 주입(DI) '어떤 객체가 필요한 객체를 외부에서 밀어 넣는다.' 의존성 주입 방식을 사용하려면 필요한 객체에 필요한 객체를 찾아서 '주입'하는 역할이 필요합니다. 스프링에서는 ApplicationContext가 필요한 객체들을 생성하고, 필요한 객체들을 주입하는 역할을 해주는 구조입니다. 스프링에서는 ApplicationContext가 관리하는 객체들을 빈(Bean)이라는 용어로 부르고, 빈과 빈 사이의 의존관계를 처리하느느 방식으로 XML설정,어노테이션 설정, Java .. 2023. 5. 12.
[spring]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웹 프로젝트 INTRO 웹 백엔드 개발자를 목표로 스터디를 진행 중 입니다. 스프링을 공부하기 위해서 현재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웹 프로젝트 책을 한권 마스터 할 예정입니다. ​ 이 블로그는 제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곳이기 때문에 환경설정 같은 부분은 뺴고 제가 몰랐던 부분, 중요한 부분을 위주로 올릴 예정입니다. ​ 하꼬개발자에서 머기업개발자가 되기위해서 스프링 START!!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923741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웹 프로젝트 | 구멍가게 코딩단 - 교보문고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웹 프로젝트 | 이 책은 Spring Framework(이하 스프링)를 사용해서 말 그대로 ‘웹 프로젝트’를 어떻게 진행하는지를 설명하는 책입니다. 웹 프로젝트라고 거창.. 2023. 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