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B/sql20

오라클 SQL과 PL/SQL을 다루는 기술 INTRO 이번 교육원에서 시작하는 오라클 SQL과 PL/SQL책이다. 기존 이론만 공부했다면 이번에는 실습 위주로 할 예정이다. 책은 하단의 있는 책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032057 오라클 SQL과 PL/SQL을 다루는 기술 | 홍형경 - 교보문고 오라클 SQL과 PL/SQL을 다루는 기술 | product.kyobobook.co.kr 2023. 9. 22.
SQL전문가 가이드(SQL 기본)1-1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 SQL은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에서 데이터 정의, 데이터 조작, 데이터 제어를 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이다. ​ SQL 문장들의 종류 명령어의 종류 명령어 설명 DML SELECT 데이터베이스에 들어 있는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검색하기 위한 명령어를 말하는 것으로 RETRIEVE 라고도 한다. INSERT UPDATE DELETE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들어있는 데이터에 변형을 가하는 종류의 명령어들을 말한다. DDL CREATE ALTER DROP RENAME 테이블과 같은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들로 그러한 구조를 생성하거나 변경하거나 삭제하거나 이름을 바꾸는 데이터 구조와 관련된 명령어들을 DDL이라고 부른다. DCL GRANT.. 2023. 9. 21.
SQL전문가 가이드(데이터 모델과 성능)2-1 정규화란? -정규화란 하나의 릴레이션에 하나의 의미만 존재할 수 있도록 릴레이션을 분해해 나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정규화의 목적은 구성되는 모든 릴레이션이 중복되지 않게 효과적으로 데이터베이스 내에 표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며, 삽입,삭제,갱신 시 Anomaly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것입니다. -정규화를 함으로써 얻게 되는 효과는 자료의 저장 공간을 최소화하고 자료 불일치를 최소화하며 자료구조를 안정화 시킴은 물론 이상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반정규화란? -정규화된 엔터티, 속성, 관계에 대해 시스템의 성능향상과 개발과 운영의 단순화를 위해 중복, 통합, 분리 등을 수행하는 데이터 모델링의 기법을 의미한다. 4가지 경우를 고려하여 반정규화를 고려 1.자주 사용되는 테이블에 접근.. 2023. 9. 20.
SQL전문가 가이드(데이터 모델링의 이해)1-4 관계의 정의 -관계를 사전적으로 정의하면 상호 연관성이 있는 상태로 말할 수 있다. -엔터티의 인스턴스 사이의 논리적인 연관성으로서 존재의 형태로서나 행위로서 서로에게 연관성이 부여된 상태 ​ 관계의 패어링 -관계는 엔터티 안에 인스턴스가 개별적으로 관계를 가지는 것(패어링)이고 이것의 집합을 관계로 표현한다는 것이다. ​ 관계의 표기법 -관계명: 관계의 이름 -관계차수: 1:1,1:M, M:N -관계선택사양: 필수관계, 선택관계 ​ 식별자 개념 -여러 개의 집합체를 담고 있는 하나의 통에서 각각을 구분할 수 있는 논리적인 이름이 있어야한다. 이를 구분자를 식별자라고 한다. ​ 주식별자의 특징 1.유일성: 주식별자에 의해 엔터티내에 모든 인스턴스들을 유일하게 구분함 2.최소성: 주식별자를 구성하는 속성의.. 2023. 9. 19.